대한민국의 루미온(lumion) 고객을 대상으로 보수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번 교육 내용은 ‘ 루미온의 이동 표현방법’ 에 대한 내용이었다. 온라인 시스템인 ZOOM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예약자를 받아 진행하였다.
차후에도 이런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역시 동일한 웹페이지에서 예약할 수 있다.


https://www.lumion3d.co.kr/Hidden_menu/lumionuserworkshop
위 사이트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런 교육을 요청하는 고객이 많았기에 진행하였다. 이전까지는 3일 과정의 교육을 진행하였는데, 이미 많은 사용자이 유튜브를 통해 , 기능을 알고 있었다.
앞으로도 필요한 교육만을 진행할 예정이다.
루미온(Lumion)은 대략 다음달 부터 루미온2023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루미온에는 Raytracing(광추적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순 조명( Light)에 대해서만 Raytracing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은 아니고, 재질과 환경(Environment)에 대해서도 해당 기능을 적용하는 제품으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루미온은 전세계적으로 실시간 렌더링 시장에서 1위를 지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역시 1위자리를 지키고 있다. 지금까지 약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실내 디자인 표현부분에서도 약점이 없어지고,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루미온 개발자들은 이 Raytracing 기술을 수년 전에 확보하였지만, 최고의 품질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였고, 드디어 발표하게 된다.
루미온과 더불어 BIM제품 중, 가장 사용하기 쉬운 제품으로 아치라인도 2023버전이 루미온2023 발표시기와 겹쳐 출시하게 된다.
아치라인2023은 CAD기능과 타사 BIM파일과도 호환되며, ifc4.0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skp, dwg파일 모두와 호환된다.
이미 대한민국에서 BIM을 경험한 사용자들이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결론은 ‘어렵다’라는 것이다. 어쩌면 어렵다기 보다는 자신들의 목적(도면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작)과 맞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아치라인을 경험한 고객들은 대부분이 ‘매우 쉽고, 효용성이 높은 BIM제품’이라고 판단한다.
아치라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archline.co.kr 에서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있다.


위 이미지는 아치라인 2023으로 렌더링 된 이미지들이다. 루미온처럼 영상을 제작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정지 이미지는 충분히 제작할 수 있는 제품이다.
BIM설계 #BIM학습 #BIM교육 #BIM학원 #건축설계 #건축BIM학습 #인테리어BIM #인테리어학원 #설계자동화 #매개변수설계 #매개변수디자인 #루미온 #lumion #조감도 #건축투시도 #건축설계도 #시방서 #도면관리 #레빗파일 #레빗가격 #레빗파일 #아치라인 #BIM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