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계용 소프트웨어 가격이 싸지 않다. CAD가 주로 사용되던 시절에도 그 가격은 엄청 비쌌다. 현재도 비싸다. 그래서 대안CAD제품들이 출시되고, 자신들의 CAD제품이 저렴하다고 광고한다.
Design software is not cheap. Even in the days when CAD was mainly used, the price was very expensive. It is also expensive now. So, alternative CAD products are launched, and their CAD products are advertised as cheap.
가격이 저렴하다고 하여 선뜻 그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이 디자인 사무소의 현실이다. 설계업무는 정확해야 하고, 자신들이 사용하는 도구에 대한 검증을 해야 한다.
The reality of design offices is that it is not always easy to buy a product just because it is cheap. Design work must be accurate, and the tools they use must be verified.
현재, 다행히도 대부분의 대안CAD제품들은 우수한 제품들이다. 하지만, 이런 제품을 선뜻 구매하기에 곤란한 부분이 바로 미래 가치이다.
Currently, fortunately, most of the alternative CAD products are excellent products. However, it is the future value that makes it difficult to buy such a product outright.
제품을 구매하는데 무슨 ‘미래 가치’를 생각하냐?라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설계하는 사람들에게 이 부분은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설계자가 구매하는 제품은 단순 소비성 제품이 아니고,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생산성 도구이다. 이것을 통해, 자신의 비전을 실현하고, 경제상황을 꾸려가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You might ask, what ‘future value’ do you consider when purchasing a product? For designers, thi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Space designers purchase is not a simple consumer product, but a productivity tool for the purpose of Desing. Through this, it is a reality that you have to realize your vision and manage the economic situation.
지금 필요한 제품은 CAD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 현실은 BIM이 활용되는 세상이 되었고, CAD기능을 포함한 BIM제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치 21세기에 셀룰러폰은 구매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미 스마트폰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어리석은 판단일 것이다.
The product we need now is not CAD. The reality has already become a world where BIM is utilized, and BIM products including CAD functions are needed. It’s as if in the 21st century you don’t have to buy a cell phone. In a world already dominated by smartphones, it would be a foolish decision to buy a product you no longer need.
BIM제품들 중에도 가격은 다양하다. 평생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공급되는 제품도 있으며, 연단위 혹은 월단위 정기구독 제품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Autodesk사의 BIM제품은 3년 사용 비용이 한국 원화로 약 1000만원이 상회한다.
Even among BIM products, prices vary. Some products are supplied as products that can be used for a lifetime, and there are also products with annual or monthly subscriptions. For example, Autodesk’s BIM product costs more than 10 million won in Korean won for three years.
BIM제품에는 Autodesk사의 제품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다행히도 Cadline에서 공급하는 ARCHLine.XP가격은 평생 사용권이 100만원과 400만원의 2가지 형태로 공급된다. LT제품은 약 100만원 정도이고, Pro제품은 400만원에 구매할 수 있다.
Autodesk’s products are not the only BIM products. Fortunately, the price of ARCHLine.XP supplied by Cadline is supplied in two Products: a lifetime license of 1 million won and 4 million won. The LT product is about 1 million won, and the Pro product can be purchased for 4 million won.
아치라인(ARCHLine.XP)는 BIM솔루션으로 1996년에 등장하여, 이미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글로 번역된 제품이 공급되며, 다른 BIM제품과는 다르게 Google Map 데이터의 3차원 정보를 BIM 화면에서 인식하게 하는 거의 유일한 BIM이다.
ArchLine (ARCHLine.XP) appeared in 1996 as a BIM solution and is already being used worldwide. The product translated into Korean is supplied, and unlike other BIM products, it is almost the only BIM that recognizes the 3D information of Google Map data on the BIM screen.
아치라인(ARCHLine.XP)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BIM제품에 비해 기능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단지, 대상 고객층이 다른 것이다. 아치라인의 경우, 주로 주거공간 설계를 목적으로 제공되는 BIM설계 제품이다. 그래서 이에 적합한 모든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건축 설계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입면도를 자동으로 생산하며, Rebar(철근) 배근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MEP기능을 활용하여 각종 Pipe, Duct를 설계할 수 있다. 입력된 모든 정보에 대해, 물량산출이 가능하다.
It is true that the price of ArchLine (ARCHLine.XP) is relatively cheap, but its functions are not inferior to other BIM products. However, the target audience is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arch line, it is a BIM design product mainly provided for the purpose of designing residential spaces. So, we provide all the features suitable for this. In addition to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elevations are automatically produced, and Rebar (rebar) placement design is possible. In addition, various pipes and ducts can be designed by utilizing the MEP function. For all entered information, quantity calculation is possible.
아치라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archline.co.kr 에서 확인 가능하다.
For more information on Archline, visit http://www.archline.co.kr.
BIM설계 #BIM학습 #BIM교육 #BIM학원 #건축설계 #건축BIM학습 #인테리어BIM #인테리어학원 #설계자동화 #매개변수설계 #매개변수디자인 #루미온 #lumion #조감도 #건축투시도 #건축설계도 #시방서 #도면관리 #레빗파일 #레빗가격 #레빗파일 #아치라인 #BIM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