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이미지는 현재 진행 중인 BIM 프로젝트의 루미온 렌더링 작품입니다. 아직 BIM설계가 완성되지 않았지만, 컨셉 작업 까지만 완료된 상태이다. 스케치업과 라이노3D를 활용하였으며, 재질 적용은 루미온에서 진행할 예정이어, 별도의 재질은 지정하지 않았고, 색상으로만 구분된 상태이다.
루미온에서 각 개체를 Layer(레이어)로 구분해야 한다. 각각을 별도의 모델 파일로 불러오는 과정에 레이어 구분작업이 진행된다. 스케치업에서 하나씩 구분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롭다. 문제는 각 개체별 원점위치가 동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스케치업의 컴포넌트(구성요소)는 자체 축이 있어, 루미온으로 가져올 경우, 원점이 엉켜진다.
그래서 나는 이 작업을 Rhino3D를 활용했다. 기초부터 지붕까지 하나씩을 각각의 데이터로 저장하였다.

스케치업에는 없는 이 기능 때문에, 라이노를 사용한다. 물론, 라이노(Rhino3D)에서 skp파일을 인식할 수 있으며, 몇가지 문제도 보정할 수 있다. import 과정에 모든 데이터를 nurbs파일로 변환하고, 일부 자료는 upgroup 해야 하는 과정을 진행해야 하는데, 번거로운 과정은 아니다.
현재는 컨셉 작업이 완료된 것을 , BIM으로 진행하고 있다. BIM제품 중 몇가지 제품이 있지만, 아치라인(ARCHLine.XP)이 호환도 잘되고, 자세한 설계 를 진행할 수 있으며, 배우기도 쉽다. 기본적으로 BIM 설계는 3차원 모델을 ifc파일로 변환하고, 도면 파일은 pdf파일로 변환할 수 있으면, OK 이다.
아치라인은 이 부분에서 모두를 만족하는 제품이다.
#BIM선택 #BIM설계 #BIM프로젝트 #단계별애니메이션 #스케치업파일라이노변환
댓글 남기기